티스토리 뷰

목차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의대 증원 논쟁의 핵심 쟁점을 양측 입장에서 정리하고,

    국민 보건권과 의료계의 현실 사이에서 어떤 해법이 필요한지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용한 글이 될 테니 반드시 끝까지 읽어 주세요.

     

    의대 증원 논쟁, 왜 다시 불붙었나?

     

    2024년 정부는 의사 부족 문제를 해소한다며

    의대 정원을 2000명 이상 증원하는 안을 내놓았습니다.

    이는 기존 연 3000여 명 수준의 정원을 대폭 확대하는 결정이었고,

    곧바로 의료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 전국 의대생 대규모 휴학을 하고, 
    • 전공의는 파업을 감행하였습니다.
    • 의사단체와 정부 간 협상 또한 결렬 되었습니다.

     

    2025년 현재까지도 집단행동의 여진은 계속되고 있으며,

    ‘정말로 의사가 부족한가?’라는 질문이 전국을 관통하고 있습니다.

     

    찬성 측 입장: 의료 취약지와 공공의료 붕괴 우려

     

    의대 증원 찬성 측, 특히 정부와 시민단체는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 지역 간 의료 격차 심화: 지방엔 응급실조차 없어 ‘의사 기피 지역’이 늘고 있음
    • 노령화로 의료 수요 폭증: 2035년엔 전체 인구의 30%가 고령자
    • OECD 대비 낮은 의사 수: 한국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2.6명 (OECD 평균: 3.7명)
    • 특정 진료과 기피 현상: 소아청소년과, 외과, 감염내과 등 필수의료 붕괴

     

    이들은 단순한 수치 증원이 아니라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공적 투자’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반대 측 입장: 질 낮은 교육과 의료 왜곡 가능성

     

    반면, 의사 단체 및 일부 교수진은 증원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 졸속 행정 절차: 의학 교육기관, 수련 환경, 교수 인프라 모두 준비되지 않음
    • 공급만 늘려선 해결 안 됨: 의사 수가 늘어도 기피과 문제는 해결 안 됨
    • 질 떨어진 의사 양산 우려: 단기간 대량 양성은 국민 건강권에 오히려 해로움
    • 의료수가와 처우 개선이 먼저: 공급이 아닌 ‘유인 구조’가 문제의 본질

     

    이들은 특히 “정치적 쇼가 아닌 정책적 설계가 필요하다”고 비판합니다.

     

     

     

    현직 의사 인터뷰 보기 → [의협 공식 채널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V82yZT11MnEiX9wVgcLkww?reload=9

     

    대한의사협회

    (사)대한의사협회 유튜브 채널입니다. 대한민국 의사회원님들과 소통하겠습니다. 피드백 보내주시면 채널 운영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좋아요' '구독하기'는 의협에 큰 힘이 됩니다. ■ 의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shorts/U7FzaXI34x0

     

     

    중간지대의 목소리: ‘늘리긴 하되, 방법이 문제’

     

    일부 보건 전문가들은 양극단을 넘어서

    “증원 자체는 필요하지만, 방식이 중요하다”는 중립적 입장을 제시합니다.

     

    •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도입
    • 특정 진료과 의무 배치
    • 국립대 정원만 단계적 증원
    • 처우 개선과 함께 추진
    •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선행

     

    이러한 전략은 단순히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지속 가능성과 국민 건강권을 함께 고려하는 현실적 방안으로 평가됩니다.

     

    결론: 단순한 숫자 싸움이 아니다

     

    의대 증원 논쟁은

    ‘의사 수 늘릴까 말까’라는 1차원적 문제를 넘어

    의료 시스템의 설계 방식, 공공재로서의 건강권,

    그리고 직업윤리와 공공 책임의 균형이라는 복합 이슈입니다.

     

    • 과잉공급? vs 만성부족?
    • 수도권 쏠림? vs 지역 붕괴?
    • 보장성 강화? vs 인센티브 부족?

     

    이제 필요한 것은 서로를 설득할 공론의 장과 실증 데이터 기반의 정책 설계입니다.

     

     

    “의사 수급 팩트체크 – 진짜 부족한 걸까, 왜곡된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