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무릎 꿇는 건 선택지가 아니다… 나는 계속 나아갈 것”
‘When a Man Loves a Woman’으로 수많은 이들의 감성을 울렸던 마이클 볼튼(72)이 악성 뇌종양 투병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볼튼은 30일(현지 시간) 미국 연예매체 피플(PEOPLE)과 단독 인터뷰를 통해 “2023년 12월, 교모세포종(Glioblastoma)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활동 중단 선언 이후 첫 공식 인터뷰로, 오랜 팬들에게는 충격과 함께 응원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자선공연 중 쓰러짐… 병원행이 인생을 바꿨다
볼튼은 2023년 11월 자선공연 중 메스꺼움과 균형 감각 이상을 느꼈다. 당시 그는 "스트레스 때문이라 생각했다"고 회상했지만, 공연 도중 의자에서 갑자기 쓰러진 뒤 병원을 찾았고, 결국 악성 뇌종양 진단을 받았다.
그는 즉시 종양 제거 수술을 받았고, 2024년 1월에는 감염으로 두 번째 뇌 수술을 감행했다. 이어진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도 모두 마친 상태다. 현재는 2개월마다 재발 여부를 확인 중이며, 교모세포종의 재발률은 약 90%로 알려져 있다.
가족과 함께, 감사한 마음으로
현재 마이클 볼튼은 자택에서 회복 중이다. 곁에는 세 딸과 여섯 손주가 함께하고 있으며, 그는 “혼자가 아니라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뷰 말미, 이런 말을 남겼다.
“(투병을 하며) 더 큰 감사함을 배운다. 나쁜 상황에서도 우리는 최선을 만들어야 한다. 무릎 꿇는 건 선택지가 아니다. 나는 계속 나아가고 싶다.”
세계적인 명성과 한국과의 인연
마이클 볼튼은 90년대를 대표하는 팝스타로, 전 세계에 7,500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한 뮤지션이다.
그는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 ‘Said I Loved You… But I Lied’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고, 그래미 어워즈 2회 수상,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6회 수상, 빌보드 올타임 레전드 등재 등의 기록을 갖고 있다.
그는 특히 한국 팬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14년과 2023년 두 차례 내한공연을 가졌으며, 당시 “한국 팬들의 따뜻한 열정은 잊을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교모세포종(Glioblastoma), 남성이 더 많이 걸릴까?
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악성 뇌종양입니다. 이 병은 급속도로 성장하며 예후가 나쁜 것이 특징입니다.
● 성별에 따른 발병률 차이
- 남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 통계에 따르면 남성:여성 비율은 약 1.6:1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60% 더 높은 발병률을 보입니다.
-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호르몬 차이, 면역 반응, 유전자 발현의 차이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 주요 위험 요인
- 고령 (60세 이상)
- 방사선 노출력
- 유전적 돌연변이
- 남성 성별
● 치료와 예후
- 표준 치료는 수술 + 방사선 + 항암치료(테모졸로마이드) 병행
- 재발률이 매우 높고, 평균 생존 기간은 약 12~18개월
- 최근 면역치료, 유전자 기반 치료 등 차세대 치료법이 임상 중
마이클 볼튼처럼 투병 사실을 담담하게 고백하는 스타들의 용기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과 동기가 됩니다.
그가 말한 “무릎 꿇지 않겠다”는 다짐은, 같은 병을 앓고 있는 누군가에게도 다시 일어설 이유가 되어줄지도 모릅니다.
교모세포종이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87&cid=60406&categoryId=60406
교모세포종
신경교종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일차성 뇌종양으로 교모세포종은 교종 중에서 WHO 뇌종양 분류 4등급의 가장 흔한 악성 종양입니다. 신경교종은 전체 원발성 뇌종양의 12.7%를 차지하며 이 중 교
terms.naver.com